|
|
|
1961 |
12.15 |
재단법인 광주구 천주교 유지재단이 광주시 쌍촌동 305번지에 학교부지 9만여 평을
확보, 연건평 2,500여 평의 시설을 갖추어 학교 설립준비 완료
이사장 Harold W. Henry, S.S.C. 주교 |
1962 |
03.07 |
대건신학교 설립인가
정원 : 철학과 120명, 신학과 160명, 합계 280명 |
04.01 |
광주, 전주, 대구, 부산, 청주교구와 예수회, 살레시오회,
프란치스꼬회 소속 신학생 모집
초대 교장 Andrew H. Bachhuber, S.J. 신부 |
1964 |
02.05 |
살레시오회 소속 신학생 가톨릭대학으로 전학 |
10.26 |
사립학교법 및 동 시행령 개정으로 광주구 천주교 유지재단에서 새로운 학교법인 대건
학당 설립 인가
초대 이사장 Harold W. Henry 대주교 |
1965 |
01.13 |
대건신학대학 설립인가
정원 : 신학과 160명
초대 학장 Andrew H. Bachhuber, S.J. 신부취임 |
1966 |
10. |
제 2대 학장 Kenneth E. Killoren, S.J. 신부취임 |
11. |
강의실 81평 증축 준공 |
1968 |
02.10 |
제 3대 학장 Terence W. Doyle, S.J. 신부취임 |
02.14 |
제 1회 신학 심포지움(평신도 신학) |
11. |
전망편집부 발족(신학전망 학술지 계간별로 발행) |
1969 |
02.26 |
프란치스꼬회 소속 학생 가톨릭대학으로 전학 |
06. |
안병태 외 1명 본교출신 첫 사제서품 |
11.06 |
제 2회 신학 심포지움(현대사회와 교회) |
11.28 |
대학운영권이 예수회로부터 광주와 대구관구 주교단으로 이양 |
12. |
김홍언 외 3명 사제서품(본교출신 사제 총 6명) |
1970 |
01.05 |
제 4대 학장 이경우 신부 취임 |
02.19 |
베네딕도회 소속 학생들 가톨릭대학으로 전학 |
03. |
예수회 소속 학생들 서강대학으로 전학
예수고난회 소속 학생들 편입 |
11.05 |
제 3회 신학 심포지움(교회관과 교회일치) |
11. |
김현수 외 1명 사제서품(본교출신 사제 총 8명) |
1971 |
05.19 |
제 4회 신학 심포지움(현대 성서학의 동향) |
05.31 |
성당, 강당(417평) 준공 |
07~11 |
김무웅 외 10명 사제서품(본교출신 사제 총 19명) |
09. |
군종장교 후보생 제도 채택
|
1972 |
02. |
예비과 과정(라틴어) 폐지 |
03.01 |
과달루페회 소속 학생 전입 |
06~10. |
강영식 외 7명 사제서품(본교출신 사제 총 27명) |
09. 27 |
교황청 인류복음화성성 차관 삐녜돌리 대주교 내방
|
12. 19 |
제 2대 이사장 한공열 대주교 |
1973 |
01.09 |
대학원 설립인가. 정원 16명
초대 대학원장 이경우 학장 겸임 |
02. |
7년제에서 6년제로 전환하는 과정에서 6년반과정 시행 |
01~04 |
양재철 외 1명 사제서품(본교출신 사제 총 29명) |
03.07 |
제 2대 이사장 한공렬 대주교 서거
|
03.10 |
제 3대 이사장 서정길 대주교 취임 |
05.08 |
제 5회 신학 심포지움(윤리신학) |
06~07 |
강택규 외 5명 사제서품(본교출신 사제 총 35명) |
11~12 |
곽동철 외 2명 사제서품(본교출신 사제 총 38명) |
12.06 |
제 4대 이사장 윤공희 대주교 취임 |
12.31 |
대학원 학칙 변경. 정원 20명 |
1974 |
03.07 |
한공렬 대주교 장학회 설립 |
04.29 |
교황청 인류복음화성성 차관 루르두사미 대주교 내방 |
05.14 |
제 6회 신학 심포지움(영성신학) |
07. |
김용효 외 10명 사제서품(본교출신 사제 총 49명) |
1975 |
01. |
박종상 사제서품(본교출신 사제 총 50명) |
01.10 |
5대 학장 정하권 신부 취임 |
07.11 |
신학생 생활내규 개정 |
07.18 |
교황청 인류복음화성성 장관 로씨 추기경 내방 |
07. |
강인찬 외 23명 사제서품(본교출신 사제 총 74명) |
09.26 |
국내 순교성지 순례 성년행사 |
10.30 |
도서관 및 학생 기숙사 증축 792평, 사제관 432평 준공 |
12. |
강영구 외 1명 사제서품(본교출신 사제 총 76명) |
1976 |
02. |
6년 과정 정식채택 |
03.01 |
서울 관구 일부 학생 본 대학에 입학
초대 이사장이며 이사이신 Harold W. Henry 대주교 서거 |
05.1 |
대학 학칙 개정(졸업논문, 성적평가) |
05. |
고승헌 외 13명 사제서품(본교출신 사제 총 90명) |
12. |
강덕창 외 24명 사제서품(본교출신 사제 총 115명) |
1977 |
01.01 |
신학원 제도 채택
초대 신학원장(Regens Seminarii) 김영환 신부 취임 |
04.28 |
제 7회 신학 심포지움(한국인의 신관과 인간관) |
05.30 |
부교수 박정일 신부 제주 교구장에 서품 |
07. |
김기홍 외 9명 사제서품(본교출신 사제 총 125명) |
08. |
본관 3층 사제관 106평 증축(학장, 교무처장, 학생처장 집무실) |
11.~12. |
구본식 외 25명 사제서품(본교출신 사제 총 151명) |
1978 |
04.10 |
제 5대 이사장 윤공희 대주교 연임 |
04. |
이병돈 사제서품(본교출신 사제 총 152명) |
07.01 |
제 6대 학장 정하권 신부 연임 |
07.10 |
제 1차 하계 신학강좌(5일간) |
07. |
강덕행 외 7명 사제서품(본교출신 사제 총 160명) |
12. |
표중관 사제서품(본교출신 사제 총 161명) |
1979 |
01.~02. |
공한영 외 15명 사제서품(본교출신 사제 총 177명) |
06. |
김승주 외 2명 사제서품(본교출신 사제 총 180명) |
07.02 |
제 2차 하계 신학강좌(4일간) |
11.23 |
제 7대 학장 김영환 신부 취임 |
12. |
박광호 외 10명 사제서품(본교출신 사제 총 191명)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