학사정보
창조와 구원의 하느님에 대한 그리스도교 신앙인의 행동관계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면서 구체적으로는 개념, 방법론, 윤리신학 역사, 현대 윤리신학의 출발점으로서의 신학적 인간학, 윤리요구의 당위성, 인간행동의 객관적 규범과 주관적 규범(양심) 죄, 용서, 회심 등의 내용을 다룬다. 아울러 윤리신학이 단순히 추상적인 계명론, 죄론으로만 그치는 것이 아니라, 영성생활을 위한 자양분을 제공하고, 또한 사제의 봉사 직무를 위한 바탕이 된다는 것도 인식시킨다.